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번 연도 출시가 예상되는 아이폰 13의 핵심 정보들에 관해서 알아볼 건데요, 우리의 눈 앞에 딱 나타나기 전까진 온갖 소문부터 추측까지 난무하게 되는 건 당연합니다. 정작 모델명부터도 13이 될지, 12s가 될지, 전부 뛰어넘고 14가 될지 모르는 일인데요, 미국에서는 13이란 숫자를 꺼려하는 문화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적용이 될만한 유력한 핵심 정보들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내용부터는 편의상 13이라 칭하겠습니다.)
스펙
아이폰 13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미니(5.4인치), 13(6.1인치), 프로(6.1인치), 프로 맥스(6.7인치) 총 4가지 시리즈로 출시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새롭게 탑재되는 기술들이 4가지 시리즈 전부 적용될 수도 있고, 상위 모델인 프로 시리즈에만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적용 범위는 확정되는 대로 추가적으로 전달드리겠습니다.
- 화면 내장 디스플레이 터치 ID 탑재가 유력합니다. 애플은 지금까지 페이스 ID를 줄곧 고수해 왔죠. 하지만 코로나 사태로 인해 마스크 착용이 대중화되면서 페이스 ID 사용이 아주 번거롭게 되었습니다. 13부터 터치 ID기능이 추가됨으로써 번거로움이 많이 해소될 것 같네요.
- 120Hz 주사율 탑재가 예상됩니다. 이는 아이폰 사용자들에게는 아주 쾌재를 부를 만한 소식인데요, 이미 삼성 갤럭시 시리즈에는 탑재가 되어 많은 사람들이 그 체감도를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탑재가 된다면 안드로이드에서 아이폰으로 넘어올 사람들이 아주 많겠는데요!
- AOD기술 탑재가 예상됩니다. AOD란 Always on display의 약자인데요,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시간이나 날짜를 표시해주는 기능입니다. 안드로이드를 사용한 경험이 있으신 분들에겐 익숙한 기술인데요, 13에서 탑재가 된다면 편의성이 높아질 것 같습니다.
- LTPO OLED 디스플레이 탑재가 예상됩니다. 삼성으로부터 공급받는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는데요, 탑재가 된다면 전력 소모가 적어져 위에 언급드렸던 120Hz 주사율을 탑재하더라도 배터리 효율 문제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A15 바이오닉 칩셋 탑재가 유력합니다. 아이폰은 출시될 때마다 업그레이드된 바이오닉 칩을 탑재했었는데 그 성능은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안다고 생각합니다. 애플의 독자적인 IOS 운영체제와의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 Wi-Fi 6E 지원이 예상됩니다. 기존 6보다 2배 정도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어 편의성이 높아질 것 같네요.
- f/1.8 조리개 탑재가 예상됩니다. 현재 아이폰 12 시리즈의 최대 광학 줌 배율은 2배입니다. 탑재가 된다면 배율이 최대 5배까지 향상할 수 있다는데요, 보다 높은 화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기대가 됩니다.
- 센터 시프트 기능 안정화가 예상됩니다. 기존 12 시리즈에서 프로맥스 모델에만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13 시리즈에는 프로 모델부터 적용 확대가 예상됩니다.
디자인
아이폰 하면 디자인적인 측면을 빼놓을 수 없겠죠? 하지만 전작인 12와 비교해서 크게 드라마틱한 변화는 없을 거라 예상합니다.
- 노치가 작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이폰의 가장 큰 단점 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게 이 노치 디자인인데요, 아이폰 시리즈가 출시될 때마다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게 노치에 관한 내용입니다. 노치가 아예 없어진다는 루머도 있었지만 노치에는 많은 센서들이 있고 특히 아이폰의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는 페이스 ID를 위해서라도 노치가 없어진다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 예상합니다.다만 센서들의 모듈 성능 결합 여부에 따라 노치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실현된다면 조금 더 깔끔한 화면 디스플레이를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 포트가 변화할까? 현재 12 시리즈에도 포트가 C타입으로 바뀔 거란 소식이 있었는데요, 적용되지 못했죠. 이번에도 같은 소식이 들리고 있는데요, 현실적으로 봤을 때 아직 애플 제품들이 라이트닝 포트로 호환되기 때문에 힘들다고 보입니다. 오히려 포트리스 디자인이 더 현실적으로 보이는데요, 포트리스 디자인이 구현된다면 덩달아 맥세이프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도 당장 13 시리즈부터 적용되기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포트가 유지된다면 기존의 라이트닝 포트로 출시될 거란 전망입니다.
- 두께 증가가 예상됩니다. 0.26mm 정도 커질 거라 예상하는데요, 두께 증가는 곧 배터리 효율 증가로 볼 수 있겠죠.
가격
아이폰 13의 가격은 12와 거의 비슷한 선으로 책정될 전망입니다. 차후에 정확한 금액이 책정되면 아래의 12 시리즈 가격과 비교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아이폰 12 미니 - 950,000원(64GB) / 1,020,000원(128GB) / 1,160,000원(256GB)
- 아이폰 12 - 1,090,000원(64GB) / 1,160,000원(128GB) / 1,300,000(256GB)
- 아이폰 12 프로 - 1,350,000(128GB) / 1,490,000(256GB) / 1,760,000(512GB)
- 아이폰 12 프로 맥스 1,490,000(128GB) / 1,630,000(256GB) / 1,900,000(512GB)
출시일
아이폰 13의 출시일은 2021년 9월 24일이 유력합니다. 작년에는 예외적으로 10월에 출시되긴 했지만 기존 출시 패턴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큰데요, 물론 이는 1차 출시일이고 국내 출시는 7일~10일 뒤에 출시되기 때문에 염두에 두셔야 될 듯합니다.
지금까지 아이폰 13의 출시일, 가격, 디자인, 스펙 등 핵심 정보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아이폰 12s가 될지 아이폰 14가 될지는 아직 모르지만 존버 할만한 가치가 있는 시리즈라고 생각됩니다. 특히 예상과는 다르게 노치가 없어지거나 포트리스 디자인으로 출시가 된다면 굉장히 센세이셔널한 반응이 나올 거 같은데요, 기대를 가지면서 사전예약, 색상 등 추후 더 정확한 정보가 나온다면 계속 업데이트하겠습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워치 4 출시일과 혈당 측정 기능 탑재 및 관련 소식들 (0) | 2021.05.16 |
---|---|
아이패드 프로 5세대 출시일, 사전예약, 스펙 및 관련 소식들 (0) | 2021.05.13 |
갤럭시 Z 플립 3 출시일과 가격 및 관련 정보들 (0) | 2021.05.12 |
갤럭시 폴드 3 출시일과 가격 및 스펙 정보 (0) | 2021.05.11 |
갤럭시 S22 출시일과 디자인 및 관련 소식들을 한번에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