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1일 오후 5시 30분경 업비트에서 유례없이 많은 코인들이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었는데요,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25종의 코인들은 엄청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6월 18일, 25종 중 베이직(BASIC)을 제외한 24종의 코인이 거래가 종료된다는 공지사항이 올라왔습니다. 주식으로 따지면 상장폐지랑 같은 말이겠네요. 그럼 조금 더 디테일한 상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유의 종목이란
2021년 3월 경 1차 유의 종목 지정 대란이 있었는데요, 이번 2차 유의 종목 대란은 1차 때보다 훨씬 규모가 커졌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대체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는 사유는 무엇일까요? 11일에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코인들은 몇 가지 공통된 사유들의 있었습니다.
- 팀 역량 및 사업
- 기술 역량
- 정보 공개 및 커뮤니케이션
- 글로벌 유동성
위의 사유들을 전체적으로 평가해 기준에 미달된다고 판단하여 유의 종목을 지정한 것인데요, 유의 종목이 지정된 후의 단계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코인은 입금을 할 수 없습니다.(입금 중단 시점부터 입출금 내역 상태가 입금 진행 중으로 표시될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입금됩니다.)
- 유의 종목 지정 후 일주일 간 해당 종목을 자세히 검토해 거래지원 종료 여부를 판단합니다.
- 일주일의 기간 동안 유의 종목 지정 사유가 소명되지 않으면 별도의 공지를 통해 거래 지원 종료를 안내합니다.
유의 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코인 현황
서론에서 설명드렸다시피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25종의 코인중 베이직(BASIC)을 제외한 24종의 코인이 거래 종료, 즉 상장폐지가 된다고 6월 18일에 공지가 올라왔습니다. 10일 후인 6월 28일 12:00시에 거래가 중지되고 베이직(BASIC)은 유의 종목 지정이 연장됩니다. 종목을 살펴보시죠.
- 코모도(KMD)
- 에드엑스(ADX)
- 엘비 알 와 이 크레디트(LBC)
- 이그니스(IGNIS)
- 디마켓(DMT)
- 아인스타이늄(EMC2)
- 트웰브 쉽스(TSHP)
- 람다(LAMB)
- 엔도 르(EDR)
- 아라곤(ANT)
- 프로피(PRO)
- 리피오 크레디트 네트워크(RCN)
- 플리 안(PI)
- 퓨전(FSN)
- 뉴클리어스 비전(NCASH)
- 비에프 토큰(BFT)
- 엔엑스티(NXT)
- 시스 코인(SYS)
- 아이템(ITAM)
- 바이트 토큰(VITE)
- 링 엑스(RINGX)
- 레드 코인(RDD)
- 피카(PICA)
- 픽셀(PXL)
- 베이직(BASIC) - 유의 종목 지정 연장
원화 마켓 페어 제거 종목
6월 11일에는 5개의 종목이 원화 마켓 페어에서 제거된다는 공지가 올라왔고, 6월 18일 12:00 경 제거가 되었습니다. 해당 5 종목은 BTC마켓 페어에서는 거래가 가능합니다.
- 마로( MARO)
- 페이코인(PCI)
- 옵서버(OBSR)
- 솔브 케어(SOLVE)
- 퀴즈 톡(QTCON)
전망
위 사진은 6월 21일 10시 30분경 거래 종료 예정인 일부 코인들의 시세 현황인데요,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후 꽤 상승폭이 있었지만 거래 종료가 확정된 후로는 지속적인 하향세를 그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유의 종목 지정 후 지정이 해제되거나 코 인명을 변경해 다시 상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면 웬만해선 상폐된다는 말처럼 베이직(BASIC)을 제외한 24종이 거래 중지가 확정되었습니다.
이번 사태는 코인 투자자들에게는 엄청난 타격이었을 텐데요, 암묵적으로 쉬쉬하던 코인 투자의 문제점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수면 위로 오르게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현재 상황으론 전체적으로 코인 시장이 주춤하는 시기인 것 같은데요, 어떤 계기로 코인 시장이 다시 반등할지, 아니면 점점 몰락의 길로 들어설지 잘 파악해야 되겠고, 현재로선 투자에 유의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